Fall 2024

Final Update: 2024/09/05 (to be updated frequently throught the semester)

453.517 001 (001) 4 credits

Thu 14:00- | Room 517, Building 39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Urban Design, SNU

Instructor: 강범준 Bumjoon Kang (39-501)

[email protected] | https://laus.snu.ac.kr/

Studio Statement: 非아파트

주택유형 지배종, 아파트

2023년 통계청의 주택총조사결과에 따르면 서울시의 총 주택수는 3,155,331호 (다가구주택은 호수별로가 아닌 1동 처리), 그 중 아파트는 1,886,515호로 무려 60%를 차지한다.

https://data.seoul.go.kr/dataList/11048/S/2/datasetView.do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현황 자료를 보면 서울시 2022년 기준 아파트 거주자는 43.5%이다.

https://data.seoul.go.kr/dataList/10762/S/2/datasetView.do

주택수를 기준으로 보면 60% 아파트이며, 주거실태를 기준으로는 서울시 가구의 43.5%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非아파트’ 용어의 등장

서울에서 아파트가 주택유형 혹은 거주유형으로 확고한 지배적 위치를 차지한 것은 이미 오래되었다. 심지어 2011년 즈음부터 아파트가 아닌 주택유형을 묶어 ‘非아파트’라 부르는 용어가 등장했다. 구글트렌드에서는 ‘비아파트’ 단어가 2011년부터 검색 기록되었고, 구글 기간 제한 검색을 해도 2011년에야 이 용어가 검색결과로 등장한다.

https://trends.google.co.kr/trends/explore?date=all&geo=KR&q=비아파트&hl=ko

물론 학술용어도 아니요 정책용어도 아니다. 사람들의 인식 속에 아파트가 아닌 그 모든 주택유형을 하나로 묶어, 기타 혹은 그 외처럼 취급해도 크게 상관이 없다는 언어적 효율성 위주의 판단 결과가 비아파트라는 단어의 등장일 것이다.